숫타니파타/법정스님편역

묶여 있지 않는 사슴이 숲속에서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숫타니파타/법정스님편역

자식이나 아내에 대한 집착은 마치 가지가 무성한 대나무가 서로 엉켜 있는 것과 같다.
죽순이 다른 것에 달라 붙지 않도록,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숫타니파타/법정스님편역

친구를 좋아한 나머지 마음이 거기 얽매이게 되면 본래의 뜻을 잃는다.
가까이 사귀면 그렇게 될 것을 미리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가섭마등, 축법란 한역- 사십이장경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대저 사람이 도를 행할진대 널리 불쌍히 여기고 널리 사랑하기를 힘써라.
남에게 덕을 베푸는 것은 보시 외에 더 큼이 없나니 뜻을 세워 그 도를 행하면 복이 심히 크리라.
또 다른 사람이 남에게 보시하는 것을 보고 즐거운 마음으로써 도와주면 또한 많은 복을 얻으리라.”
한 사람이 질문하되,
“그러면 저 사람의 복이 마땅히 감해지지 않겠나이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시되,
“그는 비유컨대 저 횃불과 같아서 비록 수천 백인이 와서 그 불을 붙여 간다 할지라도
저 횃불은 그로 인하여 조금도 적어지지 아니하고 그대로 있을 것이니 복도 또한 그러하나니라.”

가섭마등, 축법란 한역- 사십이장경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오직 널리 듣고 많이 보는 것만으로써 도를 사랑하는 이는 도리어 도를 얻기가 어려울 것이요,
먼저 신(信)을 세우고 뜻을 지켜서 천만 경계에 능히 흔들리지 아니함으로써 도를 가진 후에야
그 도가 크게 되리라.”

가섭마등, 축법란 한역- 사십이장경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악한 사람이 어진 사람을 해하는 것은 하늘을 쳐다 보고 침을 뱉는 것이라
침이 하늘에는 가지 않고 도리어 자기 몸에 떨어지며 또는 바람을 안고 티끌을 날리는 것이라
티끌이 저리로는 가지 않고 도리어 자기 몸을 더럽히나니
어진 사람을 해코자 하는 것은 도리어 제 몸을 망치는 일이니라.”

가섭마등, 축법란 한역- 사십이장경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어 부처님이 크게 인자하다는 말을 듣고
부처님의 뜻을 시험코자 욕하고 꾸짖거늘
부처님께서 묵연하여 대답하지 아니하시고 다만 그 어리석고 악한 것을 민망히 여기시더니,
그 사람이 악설을 그치매 물으시되,
“그대가 예로써 사람에게 물건을 주되 그 사람이 받지 아니하면 어찌하려는가?”
대답하되, “도로 가지고 가겠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이제 그대가 악으로써 나를 대하되 내 또한 받지 아니하면 그대 스스로 가지고 갈 터이니
그렇다면 도리어 그대 몸에 재앙이 될 것이 아닌가.
비유컨대 그림자가 형상을 따름과 같아서 마침내 여의치 못하리니 삼가 악을 짓지 말지니라.”

가섭마등, 축법란 한역- 사십이장경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세상에 어리석은 사람이 있어 나에게 악을 행하면
나는 반드시 자비심으로써 보호하여 건지리라.
그리하여도 저 사람이 또한 나에게 악을 한다면 내 또한 선으로 대하리라.
이러하면 복덕의 기운은 항상 내게 있고 재앙의 기운은 도리어 저 사람에게 있나니라.”

가섭마등, 축법란 한역- 사십이장경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사람이 여러 가지 허물이 있으되 스스로 회개하여 그 허물을
고치지 아니하면 죄가 몸에 돌아오는 것이
물이 바다에 돌아오는 것과 같아서 점점 깊고
넓음을 이루리니 어찌 능히 그 죄를 벗어나리요.
만일 허물이 있을진대 그 그름을 알고
악을 고쳐서 선을 행하면 죄업이 날로 소멸하여 반드시 청정함을 얻으리라.”

백유경

옛날 아주 돈이 많은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그는 어리석어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었다.
어느 날 그가 다른 부잣집에 가서 3층 누각을 보았다.
그 누각은 굉장히 높고 넓었으며, 웅장하고 화려하며 시원하고 밝았다.
그래서 그는 무척 부러워하며 이렇게 생각하였다.
‘내 재물은 저 사람보다 뒤지지 않는다. 그런데 왜 나는 지금까지 이런 누각을 짓지 않았던가.’
그리고는 곧 목수를 불러 물어 보았다.
“저 집처럼 웅장하고 아름다운 집을 지을 수 있겠는가?”
목수는 대답하였다.
“그것은 내가 지은 집입니다.”
“지금 나를 위해 저런 누각을 지어라.”
목수는 곧 땅을 고르고 벽돌을 쌓아 누각을 지었다.
그는 벽돌을 쌓아 집 짓는 것을 보고 의혹이 생겨 목수에게 물었다.
“어떤 집을 지으려는가.”
목수가 대답하였다.
“3층집을 지으려 합니다.”
그러자 그는 말하였다.
“나는 아래 두 층은 가지고 싶지 않다. 먼저 제일 위층을 지어라.”
목수는 대답하였다.
“아래층은 짓지 않고 어떻게 둘째층을 지을 수 있으며, 둘째층을 짓지 않고 어떻게 셋째층을 지을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나 그는 고집스럽게 대꾸하였다.
“지금 내게는 아래 두 층은 필요 없다. 맨 위층을 먼저 지어라.”
그때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비웃으면서 말했다.
“어떻게 맨 아래층을 짓지 않고 위층을 짓겠는가.”

***
비유하면 이렇다.
부처님을 따르는 제자가 삼보(三寶)를 공경하지 않고, 놀고 게으름을 피우면서 깨달음을 구한다.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나는 지금 아래 세 가지 결과는 필요 없고, 오직 아라한의 결과만을 구하고 싶다.’
그가 세상 사람들의 비웃음을 받는 것은 저 어리석은 부자와 다름이 없을 것이다.

백유경

옛날 어떤 사람이 여러 사람 앞에서 자기 아버지의 덕을 찬탄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 아버지는 인자하여 남을 해치지 않고 말이 진실하고 또 보시를 행하신다.”
그때 이 말을 듣고 있던 한 어리석은 사람이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 아버지의 덕행이 네 아버지보다 낫다.”
이웃 사람들이 물었다.
“어떤 덕행이 있는가 말해 보라.”
그 어리석은 사람이 대답하였다.
“우리 아버지는 어릴 때부터 음욕을 끊어 조금도 더러움이 없다.”
사람들이 다시 말하였다.
“만일 음욕을 끊었다면 어떻게 너를 낳았겠는가.”
그리하여 그는 사람들로부터 비웃음을 샀다.

***
그것은 세상의 무지한 사람들이 남의 덕을 칭찬하려다가 그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하여 도리어 욕을 먹게 되는 것처럼, 저 어리석은 사람도 그 아버지를 찬탄하려다 말을 잘못한 것과 같다.

백유경

옛날 어떤 도적이 있었다.
그는 나라의 창고에서 물건을 훔쳐 멀리 도망갔다.
그러자 왕은 사방으로 병사를 파견하여 그를 잡아왔다.
왕은 그가 입은 옷의 출처를 물었다.
그가 말하였다. “이 옷은 우리 조부 때의 물건입니다.”
왕은 그 옷을 다시 입어 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옷은 본래부터 그가 입던 옷이 아니었기 때문에 입을 줄을 몰랐다.
손에 있을 것을 다리에 끼고 허리에 있을 것을 머리에 썼다.
왕은 그것을 보고 대신들을 모아 그 일을 밝히기 위해 그에게 말하였다.
“만일 그것이 너의 조부 때부터 내려온 옷이라면 마땅히 입을 줄 알아야 할 것인데 왜 위아래를 뒤바꾸는가. 입을 줄 모르는 것을 보면 확실히 그 옷은 도둑질한 물건이 틀림없다.”

***
이것을 비유한다면 이렇다.
왕은 부처님과 같고 보배창고는 법과 같다.
또한 어리석은 도적은 저 외도들처럼 부처님 법을 훔쳐 들고 그것이 자기들의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을 펼 때에 위아래를 모르는 것처럼 법의 모양을 모른다.
그것은 마치 저 도적이 왕의 옷을 얻고도 그 입는 방법을 알지 못해 뒤바꾸어 입는 것과 같다.

백유경

옛날 얼굴도 잘 생기고 지혜로우며, 재물도 많은 사람이 있었는데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를 찬양하였다.
그때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그를 ‘내 형님’이라고 불렀다.
그 까닭은 그에게 있는 많은 재물을 필요할 때에 얻어 쓰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자신이 재물을 얻어 쓸 필요가 없게 되자 그는 ‘내 형이 아니라’라고 하였다.
이웃에 사는 사람이 그에게 말하였다.
“너는 어리석은 사람이다. 재물이 필요할 땐 그를 형으로 삼더니 필요 없게 되자 다시 형이 아니라고 말하다니”
그는 대답하였다.
“나는 그의 재물을 얻기 위해 그를 형이라고 했지만 실제는 내 형이 아니기 때문에 얻어 쓸 재물이 필요 없게 되었을 때는 형이 아니라고 한다.”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그를 비웃었다.

***
그것은 마치 외도들이 부처님의 좋은 말씀을 듣고는 가만히 훔쳐다 자기 것으로 삼아 쓰다가 옆의 사람이 그대로 수행하라고 하면, 오히려 이렇게 말하는 것과 같다.
“나는 이양(利養)을 위하여 저 부처의 말을 끌어와 중생을 교화하지만 실제의 사실이 아닌데 어떻게 그대로 수행하겠는가.”
그것은 마치 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을 얻기 위하여 남을 내 형이라 하다가 재물을 얻을 필요가 없게 되자 다시 형이 아니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백유경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일곱 명의 아들을 길렀는데 첫째 아들이 먼저 죽었다.
그는 아들이 죽은 것을 보고 그대로 집에 버려 둔 채 멀리 떠나려 하였다.
그러자 이웃에 사는 사람들이 그에게 말하였다.
“살고 죽는 길이 다른데 빨리 먼 곳에 보내어 장사지내는 것이 마땅하거늘 왜 집에 버려 둔 채 떠나려 하는가?”
어리석은 사람은 이 말을 듣고 가만히 생각하였다.
‘만약 집에 그냥 내버려 두지 않고 꼭 장사지내야 한다면 마땅히 아들 하나를 또 죽여 두 머리를 메고 가는 것이 보다 운치 있는 일일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곧 다른 아들 하나를 더 죽여 먼 숲에 두 아들을 장사지냈다.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매우 비방하며 일찍이 없었던 일이라고 괴상히 여겼다.

***
그것은 비유하면 마치 이렇다.
어떤 비구가 남몰래 계율을 범하고도 회개하기를 꺼려 잠자코 덮어 두고는 스스로는 청정하다고 하였다.
그때 어떤 사람이 그것을 알고 그에게 말하였다.
“집을 떠난 사람은 계율을 마치 진주를 보호하듯 하여 어그러짐이 없어야 하거늘 너는 왜 지금 계율을 범하고도 참회하지 않는가?”
그러자 그가 대답하였다.
“진실로 참회할 바에는 다시 한 번 더 범한 뒤에 참회하리라.”
그리하여 그는 계율을 깨뜨리면서 선하지 않은 짓을 많이 하고서야 비로소 남에게 알렸다.
그것은 마치 저 어리석은 사람이 한 아들이 죽으니 또 한 아들을 죽이는 것과 같은 것이다.

백유경

옛날 아주 미련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너무나 어리석어 지혜가 전혀 없었다.
어느 날 그는 매우 목이 말라 물을 찾았다.
더운 때 강물 위의 아지랑이를 보고는 그것을 물이라 생각하고 곧 신두강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막상 강에 이르러서 그는 바라만 볼 뿐 도무지 물을 마시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옆 사람이 말했다.
“너는 몹시 목이 말라 물을 찾더니 지금 강에 왔는데 왜 물을 마시지 않는가.”
그가 대답했다.
“그대가 다 마시고 나면 내가 마시겠다. 이 물이 너무 많아 한꺼번에 다 마실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모두 크게 비웃었다.

***
그것은 비유하면 이렇다.
편벽된 외도들이 자기는 부처님 계율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받으려 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도를 얻지 못하고 생사를 떠돌게 되는 것과 같다.
저 어리석은 사람이 물을 보고도 마시지 않아 사람들의 비웃음을 사는 것도 그와 같은 것이다.

백유경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아름다운 부인을 두어 마음으로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겼다.
그러나 그 부인은 진실하지 못하여 다른 남자와 정을 통하고 음탕한 마음을 걷잡지 못하여 틈만 나면 제 남편을 버리고 다른 남자에게로 가려고 하였다.
그리하여 이웃에 사는 노파에게 은밀하게 말했다.
“내가 떠난 뒤에 어떤 여자의 시체라도 좋으니 그 시체를 가져다가 우리 집 방에 두고 내 남편에게 내가 이미 죽었다고 말하시오”
노파는 그 여자의 남편이 없는 때를 엿보아 한 여자의 시체를 그 집으로 가지고 갔다.
그리고 그 남편이 집으로 돌아왔을 때 노파는 그에게 말했다.
“당신의 아내는 이미 죽었소.”
남편은 시체를 보자 그것이 자기 아내라고 믿고 슬피 울면서 괴로워했다.
그는 장작을 쌓고 기름을 부어 시체를 태우고는 그 뼛가루를 자루에 담아 밤낮으로 울고만 있었다.
그 뒤 아내는 다른 남자들이 싫어져 집으로 돌아와 남편에게 말했다.
“내가 당신의 아내입니다.”
남편은 대답하였다.
“내 아내는 벌써 죽었다. 너는 누구인데 내 아내라고 거짓말을 하는가.”
그 아내는 두 번 세 번 거듭 말했으나 남편은 결국 믿지 않았다.

***
이것은 외도들이 다른 사람이 삿된 말을 듣고 마음이 미혹하여 그것을 진실이라 생각한 나머지 고치지 않고 바른 법을 들어도 그것을 믿고 받들지 않는 것과 같다.

백유경

옛날 머리에 털이 없는 사람이 있었다.
그때 다른 사람이 배[梨]를 가지고 와서 그의 머리를 때렸다.
두세 번을 치니 상처가 났다.
그런데도 그는 가만히 참으면서 피할 줄을 몰랐다.
옆에 있던 사람이 그것을 보고 말하였다.
“왜 피하지 않고 가만히 맞기만 하여 머리를 상하게 하는가?”
그는 대답하였다.
“저 사람은 힘을 믿어 교만하고 어리석어 지혜가 없다. 그는 내 머리에 털이 없는 것을 보고 돌이라 생각하여 배를 가지고 내 머리를 때려 상처를 낸 것이다.”
그러자 옆에 있던 사람이 말하였다.
“네가 어리석은데 왜 그를 어리석다고 하느냐. 네가 어리석지 않다면 왜 남에게 얻어 맞으면 또 머리에 상처를 입으면서도 왜 피할 줄 모르는가.”

***
비구도 그와 같다. 믿음과 계율과 들음과 지혜를 닦지 않고 오직 위엄만 갖추고 이익만을 기다리고 있다.
그것은 마치 어리석은 사람이 남에게 머리를 맞고도 피할 줄을 모르는 것과 같고, 또한 머리에 상처를 입고도 도리어 남을 어리석다고 하는 것과 같다.

백유경

옛날 어떤 사람이 손님을 청하여 손님에게 소의 젖을 대접하려고 생각하였다.
‘내가 날마다 미리 소젖을 짜두면 소젖은 점점 많아져 둘 곳이 없을 것이다.
또한 맛도 변해서 못 먹게 될 것이다. 그러니 소젖을 소 뱃속에 그대로 모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한꺼번에 짜는 것이 훨씬 낫겠다.’
그리고는 곧 어미소와 새끼소를 따로 떼어 두었다.
한 달이 지난 후 손님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고 소를 끌고 와서 젖을 짜려고 하였다.
그런데 그 소의 젖은 어찌 된 일인지 말라 없어져 버렸다.
그러자 손님들은 성을 내거나 혹은 그의 어리석음을 비웃었다.

***
어리석은 사람의 생각도 이와 같아서, ‘내게 재물이 많이 쌓인 뒤에 한꺼번에 보시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재물을 모으기도 전에 수재나 화재, 혹은 도적을 당하거나 혹은 갑자기 목숨을 마치는 때도 있다.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보시하지 못한다.
그도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